제임스 힐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힐턴은 1900년 영국에서 태어난 소설가로, 《굿바이 미스터 칩스》, 《잃어버린 지평선》 등 여러 작품을 발표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영화로도 제작되었으며, 특히 《잃어버린 지평선》은 샹그릴라라는 유토피아 개념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힐턴은 1942년 영화 《미니버 부인》으로 아카데미 각색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츠 칼리지 동문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츠 칼리지 동문 - 존 올리버
존 올리버는 영국의 코미디언이자 작가, 프로듀서로, 《존 스튜어트의 데일리 쇼》 리포터로 활동하며 인지도를 높였고, 현재는 HBO에서 시사 풍자 토크쇼 《존 올리버의 라스트 위크 투나잇》을 진행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 아카데미 각색상 수상자 - 코언 형제
코언 형제는 독특한 유머와 스타일,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연출로 미국 독립 영화계를 대표하는 거장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 형제이며, 각본, 연출, 제작, 편집까지 영화 제작 전 과정에 걸쳐 협업하고 특정 배우들을 자주 기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카데미 각색상 수상자 - 세라 폴리
세라 폴리는 캐나다 출신의 배우, 영화 감독, 작가, 사회 운동가이며, 배우 활동을 시작으로 연출과 각본 분야로 활동 범위를 넓혀 다양한 작품을 제작하고, 자서전 에세이집을 출간했다. - 영국의 소설가 - 메리 셸리
메리 셸리는 1797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소설가이자 《프랑켄슈타인》으로 유명하며, 페미니즘 철학자의 딸이자 시인 퍼시 비시 셸리의 아내로서 낭만주의 시대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영국의 소설가 - 살만 루슈디
살만 루슈디는 인도 출신의 영국 소설가이자 에세이 작가로, 《한밤의 아이들》로 부커상을 수상하며 문학적 명성을 얻었고, 《악마의 시》로 이슬람교 모독 논란에 휩싸였으며, 2022년에는 테러 위협을 겪었다.
| 제임스 힐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일 | 1900년 9월 9일 |
| 출생지 | 그레이터맨체스터 주레이, 랭커셔, 잉글랜드 |
| 사망일 | 1954년 12월 20일 |
| 사망지 | 캘리포니아 주롱비치, 미국 |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츠 칼리지 |
| 직업 | 소설가 각본가 |
| 장르 | 판타지 모험 소설 주류 소설 |
| 대표작 | 굿바이 미스터 칩스 |
| 수상 | 호손든 상 아카데미상 |
| 결혼 정보 | |
| 배우자 | |
2. 생애
제임스 힐턴은 1900년 9월 9일 영국의 랭커셔 주 레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채플 엔드 스쿨의 교장이었던 존 힐턴으로, 《굿바이 미스터 칩스》의 미스터 치핑 캐릭터에 영감을 준 인물 중 한 명이다. 힐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에서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졸업 후에는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소설 평론을 썼다.
힐턴은 런던 북동부 우드퍼드 그린의 오크 힐 가든스 42번지에 있는 집에서 ''잃어버린 지평선''과 ''굿바이, 미스터 칩스''를 썼다. 이 집은 현재 힐턴이 거주했음을 나타내는 블루 플라크가 붙어있다.
1935년 앨리스 브라운과 결혼했으나 1937년에 이혼했고, 같은 해 갈리나 코페르나크와 재혼했지만 8년 후 이혼했다. 1948년에는 미국 시민이 되었다.[11]
힐턴은 간암으로 1954년 12월 20일 캘리포니아 롱비치에서 사망했다. 향년 54세였다. 그의 유해는 포레스트 론 메모리얼 파크 (롱비치)에 묻혔다가 1962년 부인 앨리스 브라운 힐턴이 사망한 후, 버지니아주 애빙던의 놀크레그 메모리얼 파크로 이장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제임스 힐턴은 1900년 9월 9일 영국의 랭커셔 주 레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채플 엔드 스쿨의 교장인 존 힐턴이었다. 존 힐턴은 훗날 제임스 힐턴의 소설 《굿바이 미스터 칩스》에 등장하는 미스터 치핑 캐릭터의 모델이 된 인물 중 한 명이다.[1] 《굿바이 미스터 칩스》의 배경은 힐턴이 다녔던 케임브리지의 레이 학교(The Leys School)이다.[1]힐턴은 월섬스토에 있는 모녹스 학교에서 1914년까지 교육을 받았고, 이후 레이 학교를 거쳐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에서 영문학 학위를 받았다.[2]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재학 시절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17세에 쓴 첫 소설 《캐서린 자신》을 19세에 출판하기도 했다.[3] 또한, Irish Independent영어 지의 주필과 친분을 맺어 주 2회 기명 기고를 시작했고, 맨체스터 가디언 지 등에도 문예 평론을 기고했다.[3] 졸업 후에는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맨체스터 가디언과 데일리 텔레그래프에서 소설 평론을 썼다.[2]
2. 2. 초기 경력
힐턴은 이른 나이에 작가적 소질을 보였다. 케임브리지 대학 재학 중이던 1920년, 20세에 첫 소설 《Catherine Herself》를 발간하였다.[2] 이후 11년 동안 힘든 시기를 보냈으나, 1931년 소설 《그리고, 안녕》(And Now Goodbye)으로 성공을 거두었다.[2] 1933년 호손던 상을 수상한 《잃어버린 지평선》, 1934년 《굿바이 미스터 칩스》, 1941년 《랜덤 하비스트》등 여러 책들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영화로 각색되었다.[2] 《잃어버린 지평선》은 1930년대 최초로 만들어진 〈포켓 북스(Pocket Books) 시리즈〉의 한 권으로 페이퍼백 혁명을 가져다주었다고 평가받고 있다.2. 3. 할리우드에서의 활동
1930년대 중반부터 할리우드로 거주를 옮겨 일을 계속하였다.[2] 1935년에 작품의 영화화에 참여하기 위해 미국으로 갔으며, 1937년에는 가족과 함께 이주하여 할리우드 근처에 살았다.[11] 1942년 영화 《미니버 부인》으로 오스카상(극본상)을 받았다.[2] 1948년부터 1953년까지 CBS 라디오에서 〈홀마크 장난감집〉(The Hallmark Playhouse)이라는 프로그램을 책임맡았다.[5][6]그가 참여한 영화는 다음과 같다.
| 제목 | 연도 | 비고 |
|---|---|---|
| 카밀 | 1936 | |
|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 1939 | |
| 유럽의 등화관제 | 1940 | |
| 해외 특파원 | 1940 | 대사 |
| 타히티의 터틀스 | 1942 | |
| 미세스 미니버 | 1942 | |
| 영원과 하루 | 1943 | 공동 작업 |
힐턴은 수많은 소설을 발표했으며, 그 중 일부는 영화로도 제작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다음은 힐턴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3. 작품 활동
출판 연도 제목 비고 1920 Catherine Herself 1922 Storm Passage 1924 The Passionate Year 1925 Dawn of Reckoning 미국 제목: Rage in Heaven 1926 Meadows of the Moon 1927 Terry 1928 The Silver Flame 미국 제목: Three Loves Had Margaret 1931 학교의 살인 글렌 트레버(Glen Trevor) 명의, 미국 제목: Was It Murder? 1931 And Now Goodbye 1932 Contango 미국 제목: Ill Wind 1932 천국의 분노 1933 갑옷 없는 기사 미국 제목: Without Armor 1933 잃어버린 지평선 호손던 상 수상 1934 굿바이 미스터 칩스 1937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1938 To You, Mr Chips 1939 Mr. Chips Looks at the World 1941 랜덤 하베스트 1944 The Story of Dr. Wassell 1945 잊을 수 없는 나날 1947 Nothing So Strange 1949 Twilight Of The Wise 1951 Morning Journey 1953 Time and Time Again 1956 H.R.H.: 에든버러 공작 필립의 이야기
다음은 영화화된 작품 목록이다.
힐턴은 1956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샹그릴라''의 대본과 가사를 공동 집필했으나, 이 작품은 실패로 끝났다.
''잃어버린 지평선''의 속편으로는 엘리너 코니와 다니엘 알티에리가 쓴 ''샹그릴라''가 있다.
3. 1. 작가적 특징
제임스 힐턴은 이른 나이에 작가적 재능을 보였다. 케임브리지 대학 재학 중이던 20세에 첫 소설 《Catherine Herself》를 발표했다. 그의 여러 작품은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대표작으로는 《잃어버린 지평선》(1933)이 있으며, 이 작품으로 호손던 상을 수상했다. 《굿바이 미스터 칩스》(1934), 《랜덤 하비스트》(Random Harvest, 1941)도 유명하다. 《잃어버린 지평선》은 1930년대 〈포켓 북스(Pocket Books) 시리즈〉 중 하나로 출판되어 페이퍼백 혁명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작품은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실린 조지프 록의 기사에서 영감을 얻었다.[2]
힐턴의 책들은 때때로 감상적이고 이상적인 영국적 미덕을 찬양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3] 《굿바이 미스터 칩스》가 대표적이지만, 일부 소설은 어두운 면을 보이기도 한다. 당시 영국의 편협함과 계급 의식과 같은 사회적 결함은 그의 작품에서 비판의 대상이었다. 예를 들어,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는 전시 히스테리로 인한 린치를 다룬 암울한 이야기이다.[2]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힐턴의 초기 작품을 높이 평가했지만, 그가 너무 많은 작품을 써서 재능을 낭비했다고 평가했다.[4] 힐턴은 서머싯 몸을 존경했으며, 소설가는 무대가 어디든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학관을 가지고 있었다.[18]
『굿바이 미스터 칩스』는 알렉산더 울콧의 호평으로 미국에서 먼저 인기를 얻어 국제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잃어버린 지평선』, 『무지개 계곡』 등도 영화화되었다. 『잃어버린 지평선』은 조지프 프랜시스 찰스 록의 『내셔널 지오그래픽』 기사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포켓 북스" 초판본 중 하나로 출판되어 페이퍼백 혁명을 일으킨 책으로 언급된다. 『무지개 계곡』은 전후 일본에서 영화로 공개되어 기억상실 환자의 대명사로 사용될 정도였다.[19]
힐턴의 책은 잉글랜드의 미덕을 칭찬한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굿바이 미스터 칩스』가 그러하며, 『잃어버린 지평선』의 주인공은 영국 신사의 전형이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의 상처를 입은 인물이기도 하다. 『이 밤에 안녕』, 『갑옷 없는 기사』 등에서도 유사한 인물이 나타난다. 한편, 몇몇 소설은 어두운 면을 가지며, 당시 잉글랜드 사회의 결점(특히 편협함과 계급 의식)을 비판한다. 『우리는 고독하지 않다』는 영국의 전시 열광으로 인한 린치를 다룬 잔혹한 이야기다. 『갑옷 없는 기사』의 포켓북스 판에서는 미국 주둔군을 풍자한 부분이 삭제되었다.
글렌 트레버라는 필명으로 쓴 장편 『학교 살인 사건』이나, 단편 「나무 망치」, 「완전 계획」 등의 추리 소설도 있다.
3. 2. 대표작
힐턴은 이른 나이에 작가적 소질을 보였다. 20세에 케임브리지 대학 재학 중 첫 소설 《Catherine Herself》를 1920년에 발간하였다.[2] 1931년 소설 ''그리고, 안녕''(And Now Goodbye)으로 성공을 거두었다.[2] 이후, 그의 여러 책들이 국제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영화로도 만들어졌다.[2] 대표작으로는 호손던 상을 수상한 《잃어버린 지평선》(1933), 《굿바이 미스터 칩스》(1934), 《랜덤 하비스트》(1941) 등이 있다.[2]
《잃어버린 지평선》은 1930년대 최초로 만들어진 〈포켓 북스(Pocket Books) 시리즈〉의 한 권으로 페이퍼백 혁명을 가져다주었다고 평가받는다.[7] 이 소설은 중국 남서부 지역과 티베트 접경 지역을 탐험한 오스트리아-미국 식물학자이자 민족학자인 조지프 록의 ''내셔널 지오그래픽'' 기사에 영감을 받아 "샹그릴라"를 발명하였다고 한다.[8]
《굿바이 미스터 칩스》는 채플 엔드 스쿨 교장 선생님이자 힐턴의 아버지인 윌리엄 헨리 발가니가 미스터 치핑 캐릭터에 영감을 주었다.[18] 처음에는 ''애틀랜틱''에 단편 소설로 게재되었으나, 이후 책으로 출판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힐턴의 책들은 때때로 감상적이고 이상적인 영국적 미덕을 찬양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3] 그러나 그의 소설 중 일부는 당시 영국의 사회적 결함, 특히 편협함과 계급 의식을 비판하는 어두운 면을 가지고 있다.
4. 샹그릴라와 유토피아
《잃어버린 지평선》으로 샹그릴라(Shangri-La)라는 신조어가 생겨나 이상향(理想鄕) 또는 유토피아를 뜻하는 단어로 널리 쓰이게 되었다.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메릴랜드에 있는 대통령 휴양지를 샹그릴라라고 불렀다. 훗날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그의 손자 이름을 따 캠프 데이비드(Camp David)라고 개명했고, 이것이 현재 이름이 되었다. 중국 정부는 중국 남서부 산악지대인 중띠엔(Zhongdian)을 힐턴의 소설에 따라 샹그릴라(Shangri-La, Xianggelila)라고 개명하여 관광지로 개발하려 했다.[7]
"샹그릴라"라는 이름은 세계와 격리된 신화적인 유토피아, 영원히 행복한 땅의 대명사가 되었다. 둘리틀 공습 이후, 폭격기가 항공모함에서 이륙했다는 사실이 극비로 유지되자,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기자들에게 농담으로 폭격기가 샹그릴라에서 이륙했다고 말했다. 해군은 이후 항공모함에 그 이름을 부여했고, 루스벨트는 메릴랜드에 있는 대통령 별장을 샹그릴라라고 명명했다. 나중에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손자 이름을 따서 그 별장 이름을 캠프 데이비드로 바꿨고, 그 이후로 그 이름이 사용되었다. 중국 윈난성 북서부 산악 지역인 중뎬은 힐턴의 책에 영감을 주었다는 주장에 근거하여 샹그릴라(샹거리라)로 개명되었다.[10]
5. 작품 목록
- 캐서린 허셀프(Catherine Herself, 1920) [2]
- 폭풍의 통로(Storm Passage, 1922)
- 열정의 해(The Passionate Year, 1924)
- Dawn Of Reckoning(1925) (미국 제목: Rage in Heaven)
- 달의 초원(Meadows of the Moon, 1926)
- 테리(Terry, 1927)
- 은빛 불꽃(The Silver Flame, 1928) (미국 제목: Three Loves Had Margaret)
- 학교의 살인(Murder at School, 1931) (미국 제목: Was It Murder?) - 글렌 트레버(Glen Trevor) 명의
- 이 밤에 안녕(And Now Goodbye, 1931) [2]
- 반복되는 일보(Contango, 1932) (미국 제목: Ill Wind)
- 갑옷 없는 기사(Knight Without Armour, 1933) (미국 제목: Without Armor)
- 잃어버린 지평선(Lost Horizon, 1933) - 호손던 상 수상
- 굿바이 미스터 칩스(Goodbye, Mr. Chips, 1934)
-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We Are Not Alone, 1937)
- 칩스 선생님, 세상을 보다(Mr. Chips Looks at the World, 1939)
- 랜덤 하베스트(Random Harvest, 1941)
- 와셀 박사의 이야기(The Story of Dr. Wassell, 1944)
- 잊을 수 없는 나날(''So Well Remembered'', 1945)
- Nothing So Strange(1948)
- Twilight Of The Wise(1949)
- 아침의 여정(Morning Journey, 1951)
- 시간은 다시 흐른다(Time and Time Again, 1953)
- H.R.H.: 에든버러 공작 필립의 이야기(H.R.H.: The Story of Philip, Duke of Edinburgh, 1956)
6. 영화화된 작품
힐턴의 소설 중 일부는 영화로 제작되었다.
| 제목 | 연도 |
|---|---|
| 잃어버린 지평선 | 1937년, 1973년 |
| 갑옷 없는 기사 | 1937년 |
|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 1939년 (힐턴이 각본을 썼다.) |
| 굿바이, 미스터 칩스 | 1939년, 1969년, 1984년, 2002년 |
| 천국의 분노 | 1941년 |
| 랜덤 하비스트 | 1942년, 1943년(라디오) |
| 와셀 박사의 이야기 | 1944년 (게리 쿠퍼 주연) |
| 잘 기억하세요 | 1947년 (존 밀스 주연, 힐턴 내레이션) |
힐턴은 1956년 브로드웨이 뮤지컬로 제작된 '잃어버린 지평선'을 각색한, 실패작인 샹그릴라의 대본과 가사를 공동 집필했다.
7. 한국과의 관계
제임스 힐턴의 작품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간된 기록이 없기 때문에, 한국과의 특별한 관계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그의 작품들은 일본에서 여러 차례 번역 출간되었다.
참조
[1]
서적
Dawn of Reckoning
Penguin Books
1937
[2]
뉴스
Mr. James Hilton
The Times
1954-12-22
[3]
서적
In Capra's Shadow
2006
[4]
서적
Freud
1989
[5]
웹사이트
The Definitive Hallmark Playhouse Radio Log
https://web.archive.[...]
2018-01-29
[6]
서적
The Penguin Companion to Literature 1
1971
[7]
뉴스
The Hawthornden Prize – Award to Author of "Lost Horizon"
The Times
1934-06-13
[8]
서적
Shangri-La: A Travel Guide to the Himalayan Dream
Bradt Travel Guides, Chalfont St. Peter
2008
[9]
서적
Lonely Planet California
2010
[10]
서적
Shangri-La: A Travel Guide to the Himalayan Dream
Bradt Travel Guides, Chalfont St. Peter
2008
[11]
서적
Shangri-La: A Practical Guide to the Himalayan Dream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08
[12]
웹사이트
Biography
https://web.archive.[...]
jameshiltonsociety.co.uk
2016-10-16
[13]
문서
Powrot do Szangri-la Antykwariat-Ksiegania Regionalna
[14]
뉴스
"...Subtle and beautiful."
The New York Times
1996
[15]
웹사이트
Blue plaque erected in Leigh honour of Goodbye Mr Chips author James Hilton
https://www.leighjou[...]
2013-03-01
[16]
웹사이트
James Hilton | Novelist | Blue Plaques
https://www.english-[...]
2020-02-27
[17]
웹사이트
James Hilton (1900–1954)
http://theydon.org.u[...]
Loughton and District Historical Society
2013-03-12
[18]
서적
鎧なき騎士
[19]
서적
心の旅路
角川書店
19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